반응형
축산법 및 가축전염병예방법 시행에 따라 축산관련종사자로 하여금 축산관련 법규, 가축방역 및 질병관리 등의 교육이수를 통해 구제역, 고병원성 AI 등 악성가축질병을 예방하고 지속가능한 축산업을 육성하기 위함
축산업, 가축거래상인, 축산차량종사자의 인허가를 위한 신규교육을 수강하시기 바랍니다.
축산관련종사자 교육정보시스템
축산관련종사자 교육정보시스템
신규교육 신청 축산업, 가축거래상인, 축산차량종사자의 인·허가를 위한 신규교육을 수강하세요. 바로가기
www.farmedu.kr
축산업 허가제 신설
- 축산업 허가를 받으려는 자가 갖추어야 할 허가기준(위치, 시설, 단위면적당 사육두수, 축산관련종사자 교육 수료증) 신설로 허가를 받으려는 자는 해당 영업장을 관할하는 시장·군수 또는 구청장에게 허가를 받아야 함
축산업허가자 등의 의무교육과정 신설
- 축산업 허가를 받으려는 자, 가축사육업의 등록을 하려는 자, 가축거래상인으로 등록하려는 자, 축산관계시설 출입차량 소유자 및 운전자는 지정된 교육기관에서 일정 교육과정을 이수하도록 의무화 함
축산업 허가를 받은자는 매 1년마다, 가축사육업 등록자 및 가축거래상인의 경우 매 2년마다, 축산관계시설 출입차량 소유자 및 운전자는 신규교육 수료일로부터 기산하여 매 4년이 되는 날부터 3개월 이내 보수교육을 이수해야 함
대규모 농가부터 우선 도입, 기존 농가는 유예기간을 설정하고 시설 설치(신규농가는 즉시 시설 설치)
- 가축사육업 허가·등록제는 축종별 사육규모에 따라 `13~`16년까지 단계별로 도입
- 위치·시설·장비·교육 기준 제시
- 가축거래상인은 각 시·군·구 지자체에 가축거래상인으로 등록해야 함
- 가축사육업 등록제는 소규모 농가까지 확대 적용하고 교육강화
- 허가대상면적(50m2)에 해당하지 않는 소·돼지
- 사슴·면양·염소(유산양포함) 신규 가축 사육업자
- 가축사육시설 면적이 10m2 이상 50m2 이하 닭·오리 신규 가축사육업자
- 가축사육시설 면적이 10m2 이상 거위·칠면조·메추리·타조·꿩 및 기러기의 신규 가축사육업자
축산차량정보수집 정보시스템 구축관리
- 가축·원유·알·동물(의) 약품·사료·가축분뇨·왕겨·쌀겨·톱밥·깔짚·퇴비·난좌·가금부산물·가축사체를 운반하거나 진료·예방접종·인공수정·컨설팅·시료채취·방역·기계수리·가금출하·상하차 등을 위한 인력운송차량 및 가축사육시설 운영·관리를 위하여 축산관계시설에 출입하는 차량에 대해 차량무선인식장치(GPS)를 장착하여 농장방문 정보 수집
반응형